Devops

VMWare 프리징 및 부팅 속도 저하 해결

hand-mk 2025. 1. 5. 16:33

✔️ 서론

Window 10 호스트 컴퓨터에서 VMWare를 통해 Ubuntu 서버를 운영하면서 VMWare 프리징 현상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본론

요즘 사이드프로젝트 <GAGU> 의 온프레미스 서버를 운영 중하면서 개발 중이다.

서버를 운영하던 중 같이 서비스 개발 중인 앱 개발자한테 서버가 꺼졌다는 연락을 받았다...

도서관에서 공부하던 중이라 얼른 집으로 뛰어왔고 확인해 보니 

VMWare 프리징 현상

이 상태로 아예 멈춰 있었다. 클릭도 안되고 콘솔을 통해 강제 종료를 시도했으나 불가능했다.

혹시 해외에서 접근하는 트래픽이 갑자기 몰려서 터졌나? 싶어서 Springboot 로그를 살펴봤음에도 특이사항은 없었다.

 

두려운 마음으로 여러 자료를 찾아보았다.

 

[가능성 1] 용량 부족

구글링을 하던 중 호스트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호스트의 용량이 부족하면 VMWare 가 멈출 수도 있다는 글을 보게 됐다.

확인해보았을 때 많은 용량이 남진 않았으나, 현 상태에서 Ubuntu 가 차지하는 용량과 비교했을 때 넘쳐흘렀다. 

때문에, 첫 번째 가능성은 배제했다.

 

[가능성 2] Docker?

구글링 중 Window 10 OS에서 WSL2(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프로그램) 을 설치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글을 보게 됐다.

https://ymkmoon.github.io/Infra-01-Confilct/

 

VMWare 프리징현상 해결하기(동작안함, 자꾸죽음)

VMWare (VMWorkStation) 와 WSL 충돌문제 해결, Docker Desktop 설치 시 주의사항

ymkmoon.github.io

 

 

 

 

일단 블로그에 나와있는 대로 Hyper-V를 꺼보기로 했다.

dism.exe /Online /Disable-Feature:Microsoft-Hyper-V // Hyper-V 기능 비활성화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off // Hyper-V 시작 유형 비활성화

 

놀랍게도 부팅 속도가 현저히 빨라졌고 프리징 현상이 해결됐다.

원인을 알기 위해선 Hyper-V 가 무엇인지를 알아야 했다.

 

Hyper-V?

Hyper-V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하드웨어 가상화 제품으로, Windows에서 가상 머신을 만들고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렇다면 왜 Docker 설치 후에 VMWare 가 말썽을 피웠을까?

 

사실 조금만 찾아보면 간단한 내용일지도 모른다.

우리가 Docker를 사용하는 이유는 운영체제 또는 시스템 환경에 구속되지 않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 화' 하여 실행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컨테이너'는 가벼운 가상화 방식이고, 빌드를 하면서 Window OS 에선 Docker 가 Hyper-V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실행한다고 한다. 

 

VMWare는 자체적인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한다고 한다. 이때 Hyper-V 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Docker와 VMWare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면, 자연스럽게 자원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이유로 VMWare를 통한 가상머신 부팅속도가 저하되고 강제종료 됐던 것이 문제였던 것 같다..

 

Hyper-V를 비활성화하고 현재 3일째 운영 중인데 프리징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 결어

리소스 관련된 문제는 언제나 무섭다... 생소한 파트라 문제가 생겼을 때 더 두려움이 큰 것 같다.하지만 해결을 했을 때의 성취감 또한 크다. 그래서 문제가 더 많이 발생했으면 좋겠다.어쩌면 공부의 원동력은 극한의 상황인 것 같다.더 많은 케이스를 접하고 공부해서 안정적인 서버를 구축하고 싶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자체 서버 구축  (1) 2024.12.04